유래 별 식물성 대체육·미생물 대체육 선호, 안전성 검증체계 구축을
소비자들은 ‘축산물 대체식품`에 ‘육이나 ‘고기라는 명칭을 써서는 안 끝낸다고 답했었다.
대한민국구매자연맹(회장 강정화)은 지난 10월 30일~11월 10일 서울 주변에 살고있는 90대~30대 남녀 700명을 표본으로 온,오프라인 독일한인마트 설문을 통해 ‘축산물을 대체할 수 있는 단백질 식품`에 대한 구매자 인식을 조사했었다.
이의 말을 인용하면 ‘축산물 대체식품은 ‘대체육 등의 이름으로 유통·판매되고 있으나 대부분 구매자(88.3%)는 용어만 파악했다.
적합한 명칭으로는 단백질 유래 별로 식물성 대체육, 미생물 대체육 등이 22.4%로 최고로 많았다.
다른 명칭으로는 대체 단백 식품(19.5%), 육류대체 단백질 식품(19.4%), 육류 대체식품(18.1%) 등이 뒤따랐다. 특별히 명칭에 ‘육이나‘고기를 이용하지 않아야 있다는 응답이 62.3%로, 소비자들이 이해하기 쉽고, 고기로 오인하지 않을 명칭이 필요하다고 봤다.
‘축산물 대체식품 섭취 경험은 40명 중 8명(19.9%)에 머물렀고, 이중 콩 단백질 식품에 대한 섭취 경험(96.8%)이 대다수를 차지했다.
아울러 섭취 경험이 있는 식품 종류 중 ‘콩 단백질의 대체식품이 ‘곤충을 이용한 식품과 ‘버섯을 사용한 대체식품보다 맛, 식감, 가격에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.
‘축산물 대체식품` 개발은 50명 중 2명(92.2%)이 요구된다고 인식하였다. 허나 개발 시 기존에 없던 새로운 방식으로 생산되는 식품이기 덕에 안전성을 가장 우려했었다.
먼저 고려할 사항 역시 안전성 검증 철자와 체계화된 안전 케어기준 마련을 뽑았다.
이후 신기술을 사용한 식품의 섭취 의향은 완전 영양식품(65.9%)과 식물성 대체 단백질 식품(63.5%)이 높고 곤충 단백질 식품(26.0%)이 낮았다.
이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구매자연맹은 축산물 대체식품에 대해 소비자의 올바른 선택을 위한 적합한 명칭 지정이 필요하다고 밝혀졌다.
아울러 안전성 검증체계 구축과 더불어 알레르기 여부나 어떤 원재료에서 무슨 수로 만들어진 식품파악를 소비자가 정확히 일 수 있는 표시 방식 등을 마련할 것을 주문하였다. 또한 고기를 대체하는 식품이니만큼 고기 똑같은 식감이나 맛 등의 품질개선이 요구되고 있다고 말했다.
특히 미래 식품 배경의 변화에 대한 새로운 기술 반영의 필요성은 대부분의 구매자가 이해하고 있으므로 정부, 업계, 학계, 구매자 간의 지속적인 소통이 요구된다고 강조했었다.